


- [성장 조절 교정]
앞니만 닿고 어금니들이 물리지 않는 경우 혹은 그 반대의 경우
어금니가 거꾸로 물리는 경우 (어금니 폭경 부조화)
안모가 이상해 보이는 경우(주걱턱, 뻐드렁니, 입술의 돌출)
앞니 간격이 크고 깊이 물리는 경우
아래턱에 비해 위턱이 돌출된 경우
주걱턱 경향이 보이는 경우
- [소아 치아 교정]
영구치간이 부족한 경우
삐뚤삐뚤하거나 겹쳐서 난 치아
음식물을 씹기에 곤란한 경우
유치가 제때에 빠지지 않은 경우
아래-윗니의 정중선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치아 사이에 공간이 많은 경우

턱이 크거나 작은 경우 : 최대성장기 전후. 검진을 통해 적절한 치료 시기를 미리 확인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턱의 크기는 정상이고 치열 교정만이 필요한 경우 : 영구치 맹출이 완료되는 시기 (보통 초등학교 6학년~중학교 1학년)
* 정밀검사를 통해 성장기 아동의 골격적 성숙 단계, 치아 발달 단계를 진단하고 성장 시기를 예측하여 정확한 성장조절 교정치료 시기를 결정합니다.

-
수술없이 골격적
부조화를 해결합니다. -
부정교합 치료 및 예방
재발을 방지합니다. -
얼굴 형태 개선, 심리적
안정을 가져다 줍니다. -
안면비대칭으로 인해
턱관절이 악화됩니다.


1. 검사 및 진단
[검사, 진단] 파노라마 X-Ray[검사, 진단] CVMI(Cervical Vertebrae Maturation Indicators)
파노라마 X-Ray 를 통해 충치, 치주, 치아 뿌리 방향, 결손치 유무등 전반적인 치아의 상태를 체크합니다. CBCT를 통해 안면 윤곽, 전체적인 균형과 형태를 체크하고, 치근의 길이, 약궁의 폭경, 얼굴의 비대칭, 중심선, 턱관절의 형태와 위치, 기도의 크기 등을 다각도로 체크하고 분석합니다.
[검사, 진단] Hand wrist X-Ray
CVMI가 목 척추 뼈의 형태로 뼈 성장 단계를 확인한다면, Hand wrist는 아이의 골격적 성숙 단계를 알려주는 X-Ray로 손가락 뼈와 손목 뼈의 골화정도를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성장단계와 성장 시기를 예측합니다. 성장기 아동에서는 상악과 하악의 성장양을 조절하는 악정형 치료가 가능하며 이 치료는 악골의 성장 시기에만 가능하므로 방사선 검사를 동반한 정확한 성장 시기와 진단이 필수적입니다.

2. 치료시작 (치료사례 : ABP 장치로 과개교합 개선)
[ABP장치 작용]*ABP : 교합거성판은 과개교합 (위의 앞니가 아래 앞니를 많이 덮는 경우) 개선을 위한 개인 맞춤 제작되는 장치입니다.

[ABP장치 교정 변화]
3. 치료시작 -2 (치료사례 : ABP 장치 교정 후 → 헤드기어 + 바이오네이터 장치로 턱 성장조절)
[헤드기어 장치 착용]

[헤드기어 + 바이오네이터 장치 교정 변화]
3. 치료시작 -3 (치료사례: ABP장치 교정 후 → 헤드기어 + 바이오네이터 장치로 턱 성장조절 후 → 메탈 장치 치아 배열 교정)
[성장조절 + 메탈 치아 교정 변화 - 치아]
[성장조절 교정 변화 -얼굴/턱]

교정 치료 전교정 치료중교정 치료 후
확인하세요. 교정 치료 후의 변화






